네트워크 - L4,L7 3

L4 로드밸런서에서 서버 상태 체크(Health Check) 구성 방법

서비스 가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사용자는 항상 정상 동작하는 서버로 연결되어야 하며 장애가 발생한 서버는 즉시 트래픽 분산 대상에서 제외되어야 합니다. 이 역할을 수행하는 기능이 바로 서버 상태 체크입니다. 상태 체크는 로드밸런서가 주기적으로 서버의 응답 여부를 확인하여 트래픽 분산 대상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를 의미합니다.L4 환경에서 활용되는 상태 체크의 개념과 유형, 구성 방법, 실무 팁, 그리고 트러블슈팅 포인트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해보고, 일부 환경에서는 간단한 L7 수준 검사도 병행할 수 있으므로 선택 기준도 함께 보겠습니다.Health Check 기본 개념상태 체크는 로드밸런서가 서버의 생존 여부를 판별하고 결과를 바탕으로 분산 테이블을 갱신하는 절차입니다. 상태 체크는 다음의 세 가지 결과 중 ..

L4 기반 로드밸런싱 개념

인터넷 환경에서 수많은 사용자 요청이 동시에 웹 서버로 유입될 때, 단일 서버로 모든 요청을 처리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럴 때 사용하는 기술이 바로 로드밸런싱(Load Balancing)입니다. 특히 L4 스위치는 전송 계층에서 포트 번호와 프로토콜 정보를 분석하여, 동일한 서비스 요청을 여러 서버로 분산시켜 서비스의 안정성과 속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이번 글에서는 L4 기반의 로드밸런싱 개념부터 실무 구성 흐름까지, 실제 네트워크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쉽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로드밸런싱이란 무엇인가요?로드밸런싱은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다수의 요청을 여러 대의 서버로 분산하여 처리하는 기술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웹 서비스입니다. 수천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홈페이지에 접속할 경우,..

L4 스위치란?

많은 네트워크 관리자들이 L2, L3 스위치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지만, L4 스위치에 대해서는 개념이 명확하지 않거나 활용 방법을 접할 기회가 적은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L4 스위치는 실제로 데이터센터, IDC, 클라우드 기반의 트래픽 제어에 핵심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고가용성과 보안, 성능 향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L4 스위치란?L4 스위치는 네트워크 4계층(전송 계층) 정보를 분석하여 트래픽을 제어하는 고급 스위치입니다. 일반적인 L2 스위치가 MAC 주소 기반, L3 스위치가 IP 주소 기반의 라우팅을 수행한다면, L4 스위치는 TCP/UDP 포트 번호, 세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 등을 분석하여 더 정교한 트래픽 분산 및 보안 제어를 수행합니다.L4 스위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