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서비스가 고도화되고 사용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네트워크에서의 로드밸런서 역할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L4와 L7 로드밸런서는 각각의 계층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트래픽을 분산시키며, 사용 목적과 환경에 따라 선택이 달라져야 합니다. 하지만 이 둘의 개념이 혼동되는 경우가 많아, 실무에서는 적절한 구성 전략을 세우는 데 어려움을 겪기도 합니다.이번 글에서는 L4 로드밸런서와 L7 로드밸런서의 개념적 차이점, 동작 방식, 그리고 실무 적용 사례까지 정리하여 비교해드리겠습니다. 네트워크 계층에서 L4와 L7의 위치먼저 두 로드밸런서가 동작하는 위치를 네트워크 계층으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L4: 전송 계층(TCP/UDP 기반)L7: 애플리케이션 계층(HTTP, HTTPS, DNS 등)L4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