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비스 가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사용자는 항상 정상 동작하는 서버로 연결되어야 하며 장애가 발생한 서버는 즉시 트래픽 분산 대상에서 제외되어야 합니다. 이 역할을 수행하는 기능이 바로 서버 상태 체크입니다. 상태 체크는 로드밸런서가 주기적으로 서버의 응답 여부를 확인하여 트래픽 분산 대상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를 의미합니다.L4 환경에서 활용되는 상태 체크의 개념과 유형, 구성 방법, 실무 팁, 그리고 트러블슈팅 포인트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해보고, 일부 환경에서는 간단한 L7 수준 검사도 병행할 수 있으므로 선택 기준도 함께 보겠습니다.Health Check 기본 개념상태 체크는 로드밸런서가 서버의 생존 여부를 판별하고 결과를 바탕으로 분산 테이블을 갱신하는 절차입니다. 상태 체크는 다음의 세 가지 결과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