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하려면 로드밸런서 이중화는 필수입니다. 단일 장비가 고장 나더라도 트래픽은 정상 장비로 즉시 전환되어야 하며 사용자는 장애를 체감하면 안 됩니다. 이 글에서는 L4 로드밸런서의 대표적 이중화 방식인 액티브 스탠바이와 액티브 액티브 구성을 비교하고 설계 기준과 실제 구성 절차를 정리합니다. 세션 유지와 상태 동기화 같은 핵심 포인트도 함께 다룹니다. 실무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예시와 점검 목록을 포함했습니다.1. 이중화 목적과 기본 원리이중화의 목적은 단일 장애 지점을 없애고 가용성을 높이는 것입니다. 두 대 이상 장비를 하나의 논리 장비처럼 동작시키고 장애가 발생하면 역할을 교체합니다. 전환은 자동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전환 시간은 서비스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짧아야 합니다. VI..